전체 글 346

[데일리 이커머스 뉴스] 23.05.16 이커머스 동향 한 눈에 보기!

"카카오톡 선물하기 수수료 과다 논란" 카카오톡에서 각종 모바일 교환권을 선물하거나 직접 구매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카카오톡 선물하기' 서비스의 판매 수수료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카톡 선물하기는 작년 국내 모바일 '선물하기' 시장의 66%인 3조 3000억 원을 차지했을 정도로 시장 장악력이 높은데, 수수료율 역시 높다는 불만이 제기된 것이다. 점주들은 "매출의 5~10%에 달하는 수수료 부담이 크게 다가온다"고 호소하는 한편, 카톡 선물하기에 입점했을 때의 광고 효과와 소비자 접근성이 높아지는 측면 등을 고려하면 수수료가 높지 않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출처_조선일보 "카페24, 숏폼 비디오 서비스 '찰나' 앱 연동" 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 '카페24'는 짧은 영상으로 생동감 있는 상품 ..

[데일리 이커머스 뉴스] 23.05.15 이커머스 동향 한 눈에 보기!

"네이버, 숏클립 덕에 거래액 2배 성장" 네이버는 쇼핑라이브의 숏클립 콘텐츠의 80%가 중소상공인이 생성하고 관련 거래액도 50% 이상을 차지하는 등 중소상공인을 중심으로 한 숏클립 콘텐츠가 활성화되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네이버 쇼핑라이브는 2분 내외의 짧은 영상을 통해 상품 판매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숏클립' 베타 서비스를 지난해 9월부터 운영 중이다. 올해 1분기 네이버 쇼핑라이브 숏클립 전체 콘텐츠 수 및 참여 판매자는 전분기 대비 각각 102%, 119% 늘었으며, 거래액 역시 약 2배가량 증가했다. 출처_뉴시스 "SSG닷컴, 양질 리뷰 확보 목적으로 뷰티 체험단 1만 명 모집" SSG닷컴이 뷰티 카테고리 강화를 위해 15일부터 21일까지 1주일간 진행되는 '뷰티 쓱세일'에서 역대 최대..

[데일리 이커머스 뉴스] 23.05.10 이커머스 동향 한 눈에 보기!

"이커머스 업계, 가정의 달 맞이 '펫팸족' 모신다" 최근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여기는 '펫팸족(Pet+Family)'이 늘어나며 이커머스 업체들이 가정의 달을 맞아 반려인 고객몰이에 적극적이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반려동물 버티컬커머스인 펫프렌즈를 비롯하여 종합몰인 쿠팡, 라이프스타일 플랫폼 오늘의 집 등 국내 주요 이커머스 업체들이 이달 들어 반려동물 관련 대규모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있다. 출처_아크로팬 "무신사, 회원 커뮤니티 '패션톡' 오픈" 이커머스 업체들이 커뮤니티 서비스를 강화하며 '찐팬(진짜+팬)' 만들기에 몰두하고 있다. 패션 플랫폼 무신사는 자체 모바일 커뮤니티인 '패션톡' 서비스를 론칭했다. 커뮤니티 기능으로 고객의 참여를 높여 록인 효과를 노리기 위한 전략이다. 출처_헤럴드경제 "쿠..

[데일리 이커머스 뉴스] 23.05.09 이커머스 동향 한 눈에 보기!

"네이버・카카오, 커머스 '쑥쑥' 성장" 네이버와 카카오가 올해 1분기 실적에서 희비를 갈렸다. 단, 커머스 부문은 양사 모두 양호한 성적을 기록했다. 광고・커머스 확대를 위한 신기술 적용과 상품 다양화를 추진한 결과다. 양사 커머스 사업 부문 매출은 전년도 동기 대비 매출이 두 자릿수 성장했다. 출처_디지털데일리 ""오픈마켓도 오픈런...G마켓, 빅스마일데이 첫 날 흥행" G마켓과 옥션이 12일 진행하는 상반기 최대 쇼핑 축제 '빅스마일데이'가 행사 첫 날부터 기대 이상의 성적을 기록하며 흥행 중이다. 오픈 직후 한 때는 트래픽이 몰려 대기가 걸리는 등 이른바 '비대면 오픈런' 행렬이 이어졌다. 출처_이코노믹 리뷰 "롯데온, 버티컬에 이어 직구로 승부" 롯데온이 출범 3년 차에 접어들었지만 좀처럼 웃질..

[데일리 이커머스 뉴스] 23.05.08 이커머스 동향 한 눈에 보기!

"신세계, 통합 멤버십 출시...쿠팡・네이버와 한판 승부" 신세계그룹은 백화점, 이마트, 스타벅스를 비롯한 그룹 내 온・오프라인 콘텐츠를 통합한 유료 멤버십 서비스를 출시한다. 쿠팡, 네이버, 롯데온 등 경쟁 채널과 한판 승부를 벌이겠다는 의미다. 신세계그룹은 통합 유료 멤버십 '신세계 유니버스 클럽'을 다음 달 7일 출시한다고 밝혔다. 출처_국제신문 "지마켓 '빅스마일데이' 신청에 3만 셀러 참여" 지마켓・옥션이 8일부터 19일까지 진행하는 상반기 '빅스마일데이'에 3만여 셀러가 참가 신청을 마쳤다고 밝혔다. 빅스마일데이는 대형 브랜드사 200여 곳이 참가하며, 이 중 12곳은 메가스폰서십을 맺어 특가 및 단독 상품 등을 선보일 계획이다. 빅스마일데이 참여 신청을 마친 셀러의 수는 직전 행사인 11월 ..

[데일리 이커머스 뉴스] 23.05.04 이커머스 동향 한 눈에 보기!

"공정위, '지마켓' 거래상 지위남용으로 제재" 공정거래위원회가 입점 업체 PCS(Price Comparison Site) 쿠폰을 일방적으로 삭제한 지마켓과 오진상사에 시정명령 및 과징금을 부과하기로 했다. PCS 쿠폰은 소비자 유입을 위해 비교쇼핑 사이트에서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가격할인 쿠폰이다. 출처_인포스탁데일리 "패션플랫폼, 배송 경쟁에 무신사 가세" 패션 플랫폼 간 배송 경쟁은 국내 업계 1위인 무신사가 가세함에 따라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앞서 빠른 배송을 선보인 브랜디, 지그재그, 에이블리는 물류 인프라 강화 및 차별화 전략 등으로 고객 니즈에 대응할 방침이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무신사는 이달 빠른 배송 서비스 'PLUS배송'을 도입한다. 평일 오후 10시까지 주문을 하면 익일, 금요일..

[데일리 이커머스 뉴스] 23.05.02 이커머스 동향 한 눈에 보기!

"패션플랫폼 글로벌로 간다...올해 격전지는 일본?" 국내 패션 플랫폼 기업들이 해외로 가고 있다. 올해 첫 격전지는 지리적 접근성이 좋은 일본이 될 전망이다. 수익성 개선이 중요해진 만큼 무조건 빠른 사업 확장은 지양하고, 일본 패션 시장에 안착하기 위해 신중한 전략을 취하고 있다. 출처_디지털데일리 "오픈마켓 브랜드평판 5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는?" 오픈마켓 브랜드평판 2023년 5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쿠팡 2위 11번ㄴ가 3위 인터파크 순으로 분석됐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국내 7개 오픈마켓에 대해 브랜드 평판조사를 실시했다. 2023년 4월 1일부터 2023년 5월 1일까지 브랜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습관과 평판을 분석했다. 출처_여성소비자신문 "쇼핑몰 이용하는 30대..

[데일리 이커머스 뉴스] 23.04.26 이커머스 동향 한 눈에 보기!

"MZ세대 패션 앱 1위는 무신사...그 뒤를 이은 에이블리" MZ세대가 이용하는 패션 앱 1위는 무신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에이블리가 지그재그를 제치고 2위에 올랐다. 오픈서베이의 MZ세대 패션 앱 트렌드 리포트 2023에 따르면 4월 7일부터 8일까지 만 15~39세 남녀 4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최근 3개월 구매 경험 기준 가장 많이 이용한 패션 쇼핑 앱 1위는 무신사(48.5%)이었다. 이어 에이블리가 이용률 22.2%로 2위를 차지했고 지그재그가 21.5%로 3위를 기록했다. 출처_이투데이 "4050 패션시장...퀸잇이 뚫었다" 4050 여성 모바일 패션 플랫폼 '퀸잇' 운영사 라포랩스가 전달 기준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흑자 전환했다. 전년 동기 대비 거래액은 82%늘었으며, 매출은 ..

[데일리 이커머스 뉴스] 23.04.25 이커머스 동향 한 눈에 보기!

"MZ세대, 의류에 월 10만원 지출한다...88%는 온라인 채널로 구매" MZ세대(1980년대초~2000년대초 출생 세대)가 의류에 월 평균 10만원을 지출하고, 이 중 88%는 온라인을 통해 구매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온라인 쇼핑몰 모음 서비스를 이용한다는 응답자가 전체의 50.3%(중복 응답 가능)으로 가장 높았다. 아울러 MZ세대는 온라인 쇼핑 모음 서비스 외 온라인 채널에서는 오픈마켓(32.9%)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출처_K-ODYSSEY "이커머스 전년도 실적 보니...직매입・버티컬이 대세" 21일 주요 이커머스 업체들의 지난해 실적이 공개됐다. 실적을 비교한 결과 종합몰 가운데선 쿠팡이 영업손실 폭을 줄이는데 유일하게 성공했으며, 그 규모도 1조원대에서 1000억원대..

[데일리 이커머스 뉴스] 23.04.24 이커머스 동향 한 눈에 보기!

"요즘 뜨는 '발레코어룩'...블핑 제니도 입었다" 최근 발레복을 일상복처럼 입는 '발레코어룩'이 인기다. 베이직한 상의에 풍성한 레이스가 특징인 '튀튀(발레용 스커트)'를 입는 식이다. 코로나19기간동안 편하게 입을 수 있는 '고프코어룩(아웃도어용 옷을 일상복과 매치)'이 인기였으나, 올해는 우아하고 발랄한 느낌의 발레코어룩이 젊은층 사이에서 유행하는 모습이다. 발레코어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관련 상품도 인기를 끌고 있으며, 특히 입문하기 좋은 신발 푼목의 경우 인기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출처_아시아경제 "MZ세대가 입는 옷은 '국내 디자이너 브랜드'?" 최근 백화점들이 명품이 아닌 국내 디자이너 브랜드를 입점시키고 있다. 입점과 동시에 백화점 매출 향상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